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판다의 크기 ,사는지역, 먹이 ,서식환경

by LEA12 2023. 8. 15.

판다 

 

판다는 중국의 대표적인 동물 중 하나입니다. 

특별히 대형 메추라기과 동물 중에서는 유일하게 육식성이 아니라, 주로 대나무와 같은 식물을 먹는 동물로 알려져 있습니다. 

판다는 대부분 중국의 산지에서 서식하며, 약 2000 ~ 3500마리의 인구가 남아있을 것으로 추정됩니다. 

그러나 기후변화 및 야생동물 유통, 수 명의 멸종 위기 등으로 인해, 그 수는 계속해서 감소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판다는 현재 멸종위기 동물 중에 하나로 분류되어 있으며, 많은 관심과 보호, 그리고 관리가 필요합니다.

 

판다의 크기 

 

판다는 평균적으로 몸길이가 1.21.8m, 어깨높이가 690cm, 몸무게는 70~130kg 정도입니다. 

남쪽의 큰 판다와 북쪽의 작은 판다로 구분되는데, 큰 판다의 몸무게는 작은 판다의 두 배 정도 더 나갑니다.

또한, 판다는 뚱한 몸과 흑백의 형광색 초목 체털이 특징입니다. 

이러한 특징으로 인해 판다는 귀여운 이미지를 가진 동물로 유명하며, 많은 관심을 받고 있습니다.

 

판다의 먹이 

판다는 대부분 대나무를 먹습니다. 

경우에 따라 새싹, 잎, 열매, 줄기 등을 먹기도 하며, 대나무 줄기의 내부를 먹기 위해서는 강인한 몸과 발톱을 이용해 지속적으로 깊숙이 파내기도 합니다. 

또한 판다의 위장은 대나무 소화를 돕기 위해 특별하게 적응되어 있습니다. 

그러나 대나무는 영양성분이 적고 소화가 어렵기 때문에, 단백질 등의 보충을 위해서 다양한 추가 먹이가 투여될 수 있습니다. 

이 경우에는 대개 우유, 달걀, 비타민 보충제 등을 사용합니다.

 

판다가 사는 환경 

 

판다는 주로 중국의 산림 지역에서 서식합니다. 

판다의 서식 환경은 기후가 건조하고 대조적인 산지이며, 강과 계곡, 산과 숲 등의 지형적 특성이 많은 지역에서 발견됩니다. 

대부분 밤에 활동하며, 주로 대나무 숲에서 서식합니다. 

대나무숲은 대상이 되는 숫판다와 새끼를 제공하는 위생적인 환경을 제공하기 때문입니다. 

그러나 대한민국 동물원에서는 판다가 대부분 사육되고 있으며, 그들은 지난 몇 년간 조류독감과 같이 치명적인 질병, 그리고 이례적인 살인자와 화재와 같은 위험으로부터 보호되고 있습니다. 

또한 대한민국에는 최근 분담율 확장 국가로 선발되어, 대한민국에 산하는 대나무숲에서도 파우더 먹이와 간보 등으로 신경써서 관리되고 있습니다.

 

판다의 중국 서식지역 

 

판다는 중국의 주로 산림 지역에서 발견됩니다. 

판다 종은 주로 중국의 서산지, 산봉우리, 시베리아 너머의 타이베이지리 및 이와 인접한 지역 등에서 서식하며, 대부분 사천지구, 산시성, 취둥성 등의 지역에 분포하고 있습니다. 

특히, 최근 몇 년간 북반구의 기온이 상승하여 파도를 일으키고 있기 때문에, 판다의 서식 지역들이 많은 변화를 겪고 있습니다.  

그러나, 중국 정부는 보호정책을 시행하고 있으며, 판다의 서식 천연환경과 인공환경을 보호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한국의 에버랜드 판다 

 

한국에서는 에버랜드(대한민국 대표 테마파크) 내 판다 전용 동물원에서 판다를 볼 수 있습니다. 

에버랜드는 2016년부터 세계적인 동물자원 보호활동 단체인 WAZA(World Association of Zoos and Aquariums)에서 인증받은 동물 및 식물의 종 다양성 보호 및 생태 교육 및 연구를 위해 노력해왔습니다. 2016년, 한국 대표 테마파크인 에버랜드에서 전 세계적으로 인기있는 동물 중 하나인 판다 두 마리를 대여받아 전용 동물원에서 관광객들에게 공개하였습니다. 

 

 

중국에서 판다를 볼 수 있는 지역 

 

중국에서 판다를 보기 위해서는 주로 세 개의 장소를 추천합니다.

첫 번째는 청두(成都)에 있는 청두 대왕산 판다 보호구역(成都大熊猫繁育研究基지)입니다. 

이곳은 판다의 멸종 위기 종 보호• 번식• 컨설팅• 연구• 공개• 교육 등 다방면에서 활동하며, 판다를 보호하는 세계적인 보호구역으로도 알려져 있습니다. 

두 번째는 사천시(四川市)에 있는 비엔나 우젤란생대(Panda Base)입니다. 이 장소는 약 40여 년간 판다 보호에 매진한 노하우와 기술을 확보하고 있으며, 판다의 보존과 연구를 위한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습니다. 

세 번째는 쑤저우(重庆市)에 있는 쑤저우 판다 센터(重庆大熊猫栖息地)입니다. 

센터는 멸종 위기종인 판다와 함께 생태계의 자원과 환경을 보존하고, 문화와 교육 활동 판다에 대한 인식을 높이기 위해 많은 노력을 하고 있습니다 외에도 중국의 다른 지역에서도 판다를 있는 장소가 있으므로, 관심 있는 장소를 검색하시길 권유드립니다.